세부과제 2

> 연구소개 >
세부과제 2
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통합평가 모형 요소 기술 개발 : 산림, 농업 부문
연구개발 필요성
- 우리나라 육상생태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산림과 농업의 기후변화에 따른 과학적 기반의 적응 정책 도출을 지원할 수 있는 기작 기반의
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평가 모형 필요
- 산림과 농업은 경제성 외에 공공재의 성격을 갖는 다원적 기능을 지니며, 기후변화에 따라 생물학적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공통의
특성을 가짐
- 따라서 두 부문의 연계를 통해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 및 취약성 통합평가 모형의 개발이 가능해짐
- 자연계와 인간계를 통합하여 모형기반 및 리스크기반 취약성 평가 모형의 개발이 가능하며, 나아가 사회·경제 분야와의 통합을 통해
적응대책 수립이 용이해짐
연구개발 동향
- 산림 부문
- 미국과 캐나다 등 선진국에서는 광합성과 산림생장을 기반으로 다양한 모형을 개발하여 탄소수지를 추정하고 있으며, 기후변화에 따른 탄소수지 변화를 정량적으로 예측하고 있음
- 유럽 IIASA에서는 G4M을 통해 산림탄소 및 바이오매스 변화 등을 예측하며, 이를 토지피복변화 기반의 GLOBIOM과 연계하여 통합적인 적응 정책 수립에 연결하고 있음
- 국내에서는 잠재수종분포 예측 모형인 HyTAG 모형과 산림탄소 예측모형인 MC1 등을 이용하여 산림부문의 기후변화 영향을 예측함
- 농업 부문
- 일부 작물에 대한 공간적 재배적지 변화 예측 시스템 개발
- 작물 생육 모형을 이용한 전국 규모의 공간적 작물 생산성 예측 시스템 개발 단계
- 기후변화로 인한 온도 상승이 논토양의 온실가스 flux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진행
-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일부 해충의 분포 및 발생량 예측 모델링 수행